인천공항 MRO 단지
'인천은 항공수도다.'

지난 2001년 인천국제공항 개항은 인천의 미래가 바뀌는 '기회'였다. 인천공항 조성을 위해 지역이 하나가 돼 도왔고, 지금도 인천공항을 위해 값진 희생을 하고 있다.

인천공항은 3단계 조성을 마무리 짓고, 4단계를 위해 준비 중이다. 오는 9월 제2터미널이 문을 열면 인천공항 1년 이용객이 현 5700만에서 1억명 이상으로 껑충 뛸 것으로 전망된다.

문제는 인천공항의 '안전'이다.

인천공항은 세계 최고의 항공 서비스로 정평이 났다. 공항 이용객들의 편의는 세계 공항의 표준이 됐고, 인천공항의 환적·환승 향상은 동북아 허브공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인천공항은 환적·환승을 높이기 위해서는 항공정비(MRO)가 함께 선행돼야 한다. 매년 인천공항의 기술적 결함에 따른 결항률이 가파르게 증가하는 것은 인천공항의 최대 약점이자 반드시 개선돼야 할 과제이다.

이에 인천은 인천공항 내 항공기정비산업 특화단지 조성을 요구하고 있다. 항공기정비산업을 조기 개발 승인하고, 인천공항 효율성과 부가가치를 높이자는 전략이다. 특히 인천의 자동차 산업과 연계된 항공기정비산업을 특화시켜 인천 미래 산업을 견인하자고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2009년 인천공항 북측 약 113만㎡(약 35만평)를 항공정비특화단지로 고시했지만 지금껏 사용 승인을 하지 않고 있다. 더구나 '항공정비산업 육성 방안'에 인천을 뺐다. 이유는 '항공산업도 균형발전의 한 축'이라는 이유에서다.

인천은 "항공업계의 요구와 최적의 입지여건을 외면하는 것은 비현실적이고 비논리적"이라며 "국내 수요를 증가시켜 지방에까지 항공정비산업이 발전토록 육성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부가 인천의 항공정비산업에 귀를 막자 "인천이 단독으로 이 사업을 추진하겠다"며 암묵적 동의를 요구한 상태다.

27일 정부가 경남을 '항공특화' 국가산업단지로 발표했다. 정부가 공식적으로 경남의 항공산업 추진에 힘을 보태겠다고 선언한만큼 대선 이후에는 꼭 인천의 자체 항공산업 추진에 동의하고 MRO 단지를 승인시켜야 한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


관련기사
인천 '항공정비 특화단지' 우려가 현실로 … '항공수도' 인천의 우려가 현실이 됐다. 정부가 대선을 앞두고 지역간 첨예한 상황에 경남을 '항공특화' 국가산업단지로 발표한 만큼 인천의 대표 대선 공약인 '항공정비사업 특화단지 조성'에 신경을 바짝 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는 27일 경남 진주·사천에 항공 산업이 특화된 '경남 항공 국가산업단지 산업단지계획'을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화한다고 27일 밝혔다. 국토부는 '항공 산업 글로벌(G7) 도약'과 '완제기 수출국으로 도약'이라며 "국가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항공 산업의 인프라 구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