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 훼손 잇따라 개체수 급감…환경계 "국가차원 대책 절실"
▲ 27일 오전 수원시의 대표 마스코트이자 1급 보호종인 '수원청개구리'를 캐릭터화 한 '수원이'와 '다정이'가 시청 1층 로비에 민원인들을 맞이하고 있다. /이성철 기자 slee0210@incheonilbo.com
중국개구리 동일종 논란을 빚고 있는 국제보호종 수원청개구리가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급격하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일보 4월27일자 1·19면 보도>

27일 지역환경보호단체와 학계에 따르면 수원지역 곳곳의 수원청개구리 생태서식지가 훼손되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개체수도 급감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동안 수원청개구리는 망포동·평리동 등 황구지천을 주변에 둔 일부 농경지역에서 종종 발견됐다. 지난해까지 환경부와 시가 조성한 인공서식지(일월저수지 일원)에서도 수원청개구리 서식이 확인됐다.

이를 근거로 시는 수원청개구리 서식지 복원과 보존 등의 내용을 담은 '수원청개구리 보존 마스터플랜' 사업이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해왔다.

하지만 수원시의 평가와 달리 수원지역 환경보호단체와 학계의 조사에서 수원청개구리의 '생태실상'은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최근 이들의 조사에서 수원청개구리 개체수는 줄어들거나 수년째 개체가 보이지 않는 서식지도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환경단체들이 이번달 '마지막 자연서식지'인 평리동 농경지에 대해 수차례 조사한 결과 수원청개구리 개체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당초 이 지역에서는 농경지에 물이 들어오는 시기(4~5월)에 밖으로 나오는 수원청개구리의 특성상 매년 4월마다 개체가 발견됐다.

환경단체들은 청개구리 개체수 감소 원인에 대해 서식지 일대에 지자체의 대규모 공사와 주민들의 1~3급의 독성을 가진 농약 살포 등을 치명적인 원인으로 꼽았다. 이에 환경단체는 수년간 시에 해결을 요구했지만 시는 '개인사유지' 등을 이유로 직접 나서지 않았다.

2012년 정부는 뒤늦게 수원청개구리를 멸종위기야생동물 1급으로 지정해 보호·복원 등 계획을 수립했다. 그러나 인공서식지 조성 말고 국가차원의 지원은 단 한차례도 없었다.

시도 마찬가지로 민·관 합동 차원의 '수원청개구리 보존TF팀'까지 구성했으나 정작 서식지 모니터링이나 대책 마련 등 실질적인 보존활동은 환경단체가 전부 도맡아 하고 있다.

이같이 수원청개구리의 미비한 보존대책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지만 시는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수억원의 예산을 투입, 수원청개구리 '캐릭터화' 사업을 벌이는 등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반면 생태보존관련 예산은 환경단체에 지원하는 모니터링 비용을 제외하고 한 푼도 없다.

한 수원청개구리 관련 보호활동가는 "국내에서 미개척분야라 많은 조사와 정책이 동반돼야 하는데, 현실은 그러지 못하다"라며 "개구리가 죽어가는 상황에 캐릭터 만드는데 집중하는 것이 말이 되냐"고 말했다.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도 "관계당국은 지난해 인공서식지 재조성 공사를 벌여 수원청개구리 개체수가 급격히 줄었다"며 "정부와 지자체가 진정 무얼 우선 시 해야 하는지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수원시 관계자는 "수원청개구리 캐릭터화 사업은 시민 등에 널리 알리자는 취지가 강한 만큼 서식지 문제와 연계시키는 것은 무리가 있다"며 "수원시가 도심지역이라 복원정책을 수립하는데 많은 고민이 필요할 것 같다"고 밝혔다.

/김현우 기자 kimhw@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