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은 인구증가율이 전국 1위 도시로서 명맥을 이어왔다. 역사적으로 인천의 평양냉면, 옹진냉면이 대변하듯 황해도를 비롯한 이북출신의 대표 거주지역이었다. 전라도출신도 많은 것으로 체감되고 있다. 이러한 인천도시인구를 한 파트로 분석해 18일 발간한 인천문화재단의 <확장도시 인천>에 따르면 가장 많은 출신지역은 충남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은 한반도의 축소판이라는 비유가 맞을 정도로 전국 각 지역에서 유입된 인구가 함께 살아가고 있는 '외지인의 도시'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1883년 제물포항의 개항과 더불어 삶의 기반을 잃은 전국의 민초들이 몰려들었던 도시가 바로 인천이다.

경인철도건설과 축항 등 부두노동을 위해 인천으로 이주하는 사람들이 대거 유입될 수밖에 없었다. 공업단지 형성 등 근대 공업화의 영향도 컸다. 이런 인천이 지난해 10월, 전국 인구규모 3위에 오르는 300만 도시로 성장했다.

대선을 앞두고 지역감정도 두드러지고 있다. 인천 정치권은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의 양당체제에서 바른정당 인천시당의 창당으로 3당 구도로 바뀌었다.

지난해 총선에서 13개 선거구 중 7곳에서 승리한 민주당을 제외한 보수진영의 판도는 새누리당과 바른정당으로 양분될 전망이다. 시의회 의원분포도 35명의 과반을 훨씬 넘어섰던 새누리당의 독주체제가 무너졌다.

출신지역별 정치세력화 이전에 인천은 다양한 연고로 구성된 포용의 도시로서 발전 가능성을 타진해야 할 시점이다. 그 논란의 중심에서 '누가 과연 올바른 인천사람인가'라는 전제를 달게 된다.

단순히 인천에서 태어나고 학교를 졸업했다고 인천사람으로서의 기득권을 주장할 수는 없을 것이다. 외지에서 유입됐지만 수십 년 이상을 인천에 살고 있는 사람들도 있다. 또 그 후세들이 인천사람으로 성장하고 있다.

인천사람은 인천에 대한 관심과 참여로부터 시작된다. 이제 300만 도시를 형성한 인구유입도 의미 있지만 인천사람으로 살 수 있는 도시 육성도 중요하다.

우선 다양한 지역출신이 모인 인천에서 진정한 인천사람의 도시를 만들려면 인천시민을 대표하는 각종 기관과 단체를 이끌어가는 일부 구성원의 과도한 기득 특권의식에 대한 스스로의 반성도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