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 상당수 하천 회복 불가
공사·철거 중심 되레 오염 부추겨
환경부 "각 지자체 대책 마련토록"
▲ 화성시 팔탄면 해창리 서해안고속도로 하부를 통과하는 발안천 상류에서 오염된 물이 어도(魚道,어류가 이동을 하기 쉽게 댐)를 통해 하류로 흐르고 있다. /김철빈 기자 narodo@incheonilbo.com
경기·인천지역의 오염된 생태하천 중 상당수는 복원 사업을 벌여도 회복하기 어려운 하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 주변의 각종 개발과 주민편의 중심의 복원사업으로 기준치 이상의 수질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24일 인천일보가 입수한 환경부 내부 자료에 따르면 전국에 138곳 하천 가운데 88곳 하천이 2등급 수준의 수질을 유지하고 있었고, 11곳 하천은 3등급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에서 물고기가 서식하려면 3등급 정도의 수질을 유지해야한다.

하지만 환경부가 올해 4월부터 유관 기관들과 공동으로 전국의 '생태하천복원사업 수질개선 실태 일제조사'를 벌인 결과 2, 3 등급 수질을 기록한 99개 하천을 제외한 15곳의 하천은 4등급의 수질을 기록했고, '최악'의 5등급 이상 판정을 받은 하천은 무려 24곳에 달했다.

4등급 이상인 이들 생태하천 중 복원사업을 완공하는 33곳 하천의 경우 3등급 이하의 수질로 개선될 것으로 예측된 반면 나머지 6곳의 하천은 오염원·수질·환경저감시설·향후계획 등을 토대로 장래 수질을 전망한 결과 복원사업 완공 이후에도 4등급 이상의 수질을 되찾기는 어렵다는 분석이 나왔다.

회복 불가능한 하천 대부분은 경기·인천 지역에 집중됐다.

그동안 지방자치단체들이 앞다퉈 벌인 '생태복원사업'이 지역 경제 효율성과 주민이용의 편의성만 추구한 결과이다.

2014년부터 시작된 화성시의 발안천 생태하천복원사업은 BOD(생물학적산소요구량, ㎎/L)가 9.4로 측정돼 사업완공 이후에도 복원이 어렵다는 분석이 나왔다.

2017년 완공을 앞둔 오산천 용인구간의 경우 현재 BOD는 6.2로 나왔으나, 사업완료 이후에는 오히려 BOD 수치가 6.3대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마찬가지로 2017년 복원사업이 완료되는 이천시 중리천도 BOD가 0.4 상승한 8.6으로 예상돼 생태복원사업이 오히려 환경오염을 부추긴 결과를 초래했다.

이들 지역의 사업이 수질개선과는 거리가 먼, 시설공사나 철거 중심이어서 3급수 이상의 수질 확보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 환경부는 이들 지자체에게 하천관리대책을 요구하고 지방청에 이행여부를 확인토록 하는 등 대처키로 했지만, 완전한 생태복원까지는 긴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생태하천이라는 것이 수질복원의 의미도 있지만 도심과 어우러진 공간으로 조성한다는 의미도 있어 수질의 문제는 일정기간동안 관리하는 방향으로 해결하겠다"며 "각 지자체에 대책을 마련토록하고 향후 사업엔 차질이 없게 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김현우 기자 kimhw@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