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3차 항만기본계획' 확정…신항 철도 건설은 빠져

2020년까지 인천항이 수도권 종합 물류 관문으로 육성된다.

해양수산부는 중앙항만정책심의회 심의를 거쳐 '제3차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2016-2020년)'을 29일 확정·고시했다.

항만기본계획은 항만법에 따라 10년 단위로 수립되고 있지만 항만 변화와 탄력적인 물류상황 반영을 위해 5년 단위로 수정된다.

해수부는 항만별 특성에 맞춘 항만 국제경쟁력 및 물류기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인천항은 수도권 종합 물류 관문, 부산항은 세계 2대 컨테이너 환적 허브, 광양항은 국내 최대 산업클러스터 항만 등으로 특화 개발된다. 해수부는 글로벌 선사 재편, 허브 항만 간 경쟁 심화 등을 고려해 주요 항만의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인천항은 2017년 완전 개장되는 인천신항과 항만배후단지 713만㎡ 공급, 새 국제여객부두 건설이 추진된다.

해수부는 항만배후단지의 경우 2020년까지 아암물류2단지, 신항 배후단지, 북항 청라 투기장 등을 추가로 개발할 예정이다.

인천항 내 분산된 컨테이너 기능도 일원화 될 전망이다. 인천 내항 내 일부 컨테이너 기능을 2018년 4월 이후 인천신항으로 이전 통합시켜 관련 시장 안정화를 꾀하게 된다.

항만배후단지 고부가가치화를 위해서는 영종도 준설토 투기장을 해양관광레저 콘셉트로 개발하고, 인천 내항 1·8부두는 재개발을 통해 배후도심과 상생발전 및 지역 경제 거점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크루즈 관광 300만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인천항 크루즈 전용 터미널 2개 선석을 포함해 전국적으로 16개 터미널을 확보하기로 했다.

지역기반 물류지원의 경우 인천항은 시멘트, 모래, 수리 조선 등을 맡게 된다.

그러나 인천신항 물류 활성화를 위해 철도 건설 계획은 반영되지 않았다.

해수부 중장기 시설 계획에서 인천, 평택당진, 부산 등을 대상으로 전체 72.2㎞ 규모의 배후 수송도로를 건설하기로 했지만 철도는 부산, 울산, 포항, 동해 등 4곳만 포함시켰다.

그동안 인천은 인천신항 추가 건설을 대비한 원활한 물류 흐름을 위해 철도 인입을 건의해 왔다. 하지만 이번 수정 계획에서 제외되면서 신항 철도 건설은 장기 과제로 남게 됐다.

한편 해수부는 항만부가가치가 2014년 27조원에서 2020년 40조원, 항만산업 종사자는 2014년 50만명에서 2020년 60만명에 달할 것으로 각각 예상했다.


/이은경 기자 lotto@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