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 전문가, 강화 '지상 대피소' 우려
▲ 최근 새로 지은 인천 강화군의 주민대피소들이 북측을 정면으로 보고 있어 주민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일부 대피소와 북측의 거리는 불과 몇 백미터 거리다. 29일 인천 강화군 송해면 당산리 주민대피소가 북한(사진 왼쪽 산 능선 부분)을 바로 마주보며 위치해 있다. /양진수 기자 photosmith@incheonilbo.com

군사 전문가들은 북한을 마주본 인천 강화군 송해면 당산리 주민대피소의 안전을 크게 걱정하고 있다.

대피소 자체가 도로변에 노출된 데다, 주 출입문도 북한이 공격할 수 있는 방향에 있기 때문이다.

이일우 ㈔ 자주국방네트워크 사무국장은 "핵폭탄 공격을 견디려면 통상 지하에 대피소를 만들어야 한다"면서 "당산리처럼 지상에 설치해서는 이런 공격을 견디기 어렵다. 철책선 접경지역인만큼 대피하는 동안 공격을 막을 수 있는 방벽을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주재복 한국지방행정연구위원도 "내부 방폭문과 상관없이 포격 발생 뒤 대피하는 과정에서 포가 날아드는 쪽으로 출입문이 나 있으면 당연히 대형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주 연구위원은 2011년 '접경지역 주민대피시설 수요예측 및 표준모델 구축방안' 논문을 집필한 이 분야 전문가다.

반면 인천시와 강화군은 이런 우려를 일축하고 있다.

북한군에 노출된 장소에 주민대피소를 만들었지만 위급상황 때 빨리 대피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는 것이다. 또 적 공격에도 견딜 수 있을 만큼 견고하다는 입장이다.

강화군 한 관계자는 "핵폭탄에도 견딜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강화군은 국방부의 화생방 방호설계시설 치침에 따라 당산리 주민대피소를 만들었다. 이 대피소는 두께 50㎝ 콘크리트 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는 2t급 폭탄이 12.2㎡ 내외에서 터졌을 때, 핵폭탄이 지상 500m 이상 상공에서 터졌을 때 버틸 수 있는 강도다.

하지만 북한군이 주민대피소를 직접 겨냥하면 상황은 달라질 수 있다.

강화군 관계자는 "주민대피소를 지하에 두면 내부 결로가 일어나 관리가 힘들다"며 "그래서 대부분 지상에 짓고 있다"고 밝혔다.

2011년 6곳이던 강화지역 주민대피소는 연평도 포격사건 뒤 현재 40곳으로 늘었다. 지난해 64억 원을 들여 10곳을, 올해도 5곳을 짓고 있다.


/황신섭·김원진 기자 hss@incheonilbo.com


관련기사
"코앞에 北이 보고있는데..."강화 '주민대피소' 어쩌나 북한군의 대남방송이 아침부터 작은 시골마을을 뒤덮었다. "정말 가깝죠?" 철책선 너머 북한 땅을 바라보던 주민 A(62) 씨가 말문을 열었다. "코앞에 적이 있는데, 이런 장소에 주민대피소라니요." 그랬다. A 씨 말처럼 북한군 공격 때 주민들이 몸을 피해 들어가는 주 출입문도 북쪽으로 나 있었다. "포탄이 날아오면 끝장이에요." 29일 오전 10시. 인천 강화군 송해면 당산리 주민대피소에서 만난 주민들은 불안감을 감추지 못했다. 강화군은 사업비 6억4000만 원을 들여 이달 당산리에 주민 204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피소를 ...